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미디어센터

A multimedia mosaic of moments at GIST

Events

-4차인재위원회 개최- GIST, “열린 전공, 열린 인재” 주제로 전공간 경계 없는 융합형 열린 인재 양성방안 제시

  • 대외협력팀
  • 등록일 : 2018.05.17
  • 조회수 : 1533

□  GIST(지스트, 총장 문승현)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 후원으로 KAIST(한국과학기술원),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 UNIST(울산과학기술원) POSTECH(포항공과대학교)과 함께 517() KAIST에서 2과학기술원 4차인재위원회(이하 ‘4차인재위원회’)를 개최하였다.


   * 4차인재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핵심역량(융합, 창의, 사회적 책임, 자기주도 등)을 갖춘 미래인재


  ∘ 4차인재위원회는 과학기술원인재양성 방안 논의하기 위해 지난 ’18.2에 발족한 위원회로서 과기정통부와 4대 과학기술원, POSTECH, 학 전문가, 학생 등 20여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이번 2 회의에서는 무학과 무전공 제도를 주제로, 각 과학기술원이 기관별 특색을 반영한 맞춤형 무학과, 무전공 모델제시한다.

□  GIST는 대학설립 시부터 전원 무학과 입학(기초교육학부)을 채택해 왔으며, 단일전공에 집중해야한다는 편협한 시각을 탈피하여 전공을 선택하지 않고 선언하는 열린 교육을 구현해 왔다.

   ∘ 학생들은 인원 및 성적 제한 없이 자유롭게 전공을 선언할 수 있으며, 선언 후에도 다양한 전공 경험을 장려하기 위해 전공분야 학점최대 42학점까지만 졸업학점으로 인정하고 타 전공 수강 시 S/U* 성적 부여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여 평가 부담 없이 폭넓은 전공경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 S:Satisfactory/ U:Unsatisfactory : Pass/Fail ‘Fail’이라는 단어에서 유추되는 부정적인 어감을 배제하여, 학습자의 수강의지 독려

□  특히 이번 회의에는 GIST 대학 3학년 정혜연 학생(생명과학전공)을 포함한 과학기술원 재학생들이 참석하여 과학기술원 총장들과 학생들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재 양성에 대해 깊이 있게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  또한, 금번 회의에서는 4차인재위원회의 향후 세부 운영 방안논의하였다.

  ∘ 4차인재위원회는 앞으로 과학기술원 10대 발전과제주제로, 2~3달에 한 번씩 회의를 개최하여 1개의 발전과제를 확정하고 기관별 세부과제와 이행계획수립할 계획이다.

□  문승현 총장“GIST는 급변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우리 과학기술계를 이끌어나갈 4차 인재를 양성하고, 나아가 이공계 교육을 선도할 모델로서 GIST를 발전시키고자 한다이번 4차인재위원회는 각 지역 과학기술 인재 양성의 허브인 4개 과기원 및 POSTECH이 한마음 한뜻으로 지혜를 모아 사회에 기여할 4차 인재를 양성하는 시작점이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올해로 설립 25주년을 맞는 GIST는 과학기술 인재 양성 및 세계 수준의 연구기관을 넘어, 국가와 사회에 기여하고, 지역민, 학생들과 소통하는 과학기술원으로서의 역할을 재정립하고자 ‘4차 인재 10대 발전과제를 적극적으로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

                             external_image 

                                ▲ (중앙) 카이스트 신성철 총장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디지스트 손상혁 총장, 유니스트 정무영 총장
                                    (좌측으로) 과기부 미래인재양성과 강병삼 국장, 엠아이큐브솔루션(주) 박문원 대표, 지스트 문승현 총장  



 




콘텐츠담당 : 대외협력팀(T.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