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미디어센터

A multimedia mosaic of moments at GIST

Events

2017학년도 학위수여식 개최

  • 대외협력팀
  • 등록일 : 2018.02.20
  • 조회수 : 2625

□  GIST(지스트·총장 문승현)220() 오후 2GIST 오룡관 대강당에서 학생과 학부모, 외 귀빈 등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7학년도 학위수여식을 개최하였다.

  ∘ 이번 학위수여식에는 박사 41명과 석사 174, 학사 95명 등 총 310명에게 학위가 수여되었다.

  ∘ 특히 이날 행사를 축하하기 위해 임대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참석하여 졸업생들에게 축하와 격려의 말을 전달했으며, 과기부장관상을 직접 시상하였다.

□   한편, 이번에 학위를 받는 GIST의 박사 졸업생들이 박사과정 재학 기간 동안 SCI(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 등재 학술지에 게재한 논문1인당 평균 5.71으로 확인되었다.

‘2017년 학위수여식에서 박사학위를 받는 졸업생 41명이 박사과정에서 주저자(1저자·First Author)로서 1인당 평균 2.56, 공동저자(Co-author)로서 1인당 평균 3.15편 등 총 5.71의 논문을 SCI 등재 학술지에 게재한 것으로 집계됐다.

□  기계공학부 박양규 박사(지도교수 이종현)주저자 5편과 공저자 7편 등 총 12편의 SCI논문과 기타논문 30편 등 총 42편의 논문을 게재해 이번 박사 졸업생 가운데 가장 많은 논문을 게재했다.

박양규 박사는 우수한 논문 실적 뿐 아니라 융합적 공학연구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함으로써 연구실의 새로운 연구방향 정립에 많은 기여를 했으며, 기술사업화에 필수적인 특허에 있어서도 등록 3, 출원 5(국제 2, 국내 3)으로 매우 우수한 업적이 인정되어 과기부장관상 수여자로 선정되었다.

기계공학부 박양규 박사를 비롯해 정보통신공학부 임종혁 박사(지도교수 조영달), 신소재공학부 이종훈 박사(지도교수 이광희), 기계공학부 강성모 박사(지도교수 안효성), 지구환경공학부 신재돈 박사(지도교수 이윤호), 생명과학부 이강민 박사(지도교수 김영준), 물리광과학과 안용준 석사(지도교수 김근영), 융합기술원 의생명공학과 윤조호 박사(지도교수 이종현), 나노바이오 재료전자공학과 정세희 박사(지도교수 박성주) 9명에게 우수 연구상이 수여됐다.

또한 생활관 자치회 대표로 활동하여 학생 복지 향상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나노바이오 재료전자공학과 박사과정 졸업생 정세희 박사(지도교수 박성주)와 원외 봉사활동과 학술활동의 참여를 통해 기관의 명예를 높여 원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은 물리전공 학사과정 졸업생 이영민 학사(지도교수 노도영)에게 공로상이 수여됐다.

지스트 배움마당 교사로서 지역의 소외 아동들에게 지식 나눔 봉사를 통해 꿈과 희망을 심어주고, 지역과 함께하는 기관 이미지 제고에 크게 기여한 물리광과학과의 강경보 석사(지도교수 조병익)와 융합기술원 의생명공학과 이송현 박사(지도교수 김재관)를 비롯해 함성소리라는 교육봉사와 광주희망야간학교에서 한글 교육 등을 펼친 지구환경공학전공 이수진 학사(지도교수 민경은)에게는 사회봉사상이 수여됐다.

∘  마지막으로 GIST대학의 3C1P* 교육목표 실현에 부합하는 학사 학위수여자에게 수여되는 미래인재상은 학부 과정에서 다양한 교양 과목을 수강함으로써 감성적 창의력과 지적능력을 배양하여 상호소통 능력을 키우고, 연구실 구성원들과의 협동적 연구 능력을 함양한 화학전공 오진영 학생(지도교수 이호재)과 영상편집동아리를 이끌며 창의적인 영상들을 제작해 학교 홍보에 기여 및 창의융합경진대회에서 팀의 리더로 유리창 청소 로봇을 제작해 총장상 수여 등의 공로를 인정해 기계공학 전공 전국성 학생(지도교수 이종호)이 수여한다.

   * '창의적인 생각(Creativity)으로 의사소통(Communication)하고, 서로 협력(Cooperation)해 문제를 해결(Problem-Solving)할 수 있는 학생'을 선발·육성하기 위한 GIST대학의 인재상

□  GIST기관의 연구 역량과 연구 성과의 학계 영향력을 보여주는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부문에서 최근 3년간 Top 3위로 평가를 받으며, 우수한 연구성과를 세계에서 인정받아왔다. 그 배경에는 박사과정 대학원생들이 100% 연구에 참여하고 설립 초기부터 전공과목을 영어강의로 진행해 오고 있는데서 찾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대학원생들이 학위과정 중 국제학술지에 영어로 논문을 게재하고 여러 국제 학회에서 자신의 연구 과제와 성과에 대해 발표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하고 있다.

□  임대식 본부장은 축사에서 “GIST는 우리나라 이공계 대학의 혁신 모델을 제시하며, 과학기술 허브로 산학협력의 모범 사례로 성장했으며, 졸업은 또 다른 새로운 문을 열는 시작으로 졸업생 여러분들의 앞으로의 삶에 승리가 함께 하기를 기원하겠다고 전했다.

                          external_image

□  문승현 총장오늘 학위를 수여받은 졸업생 여러분들은 그동안 GIST에서 얻은 역량과 자신감으로 인류사회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감하게 도전해 주시기를 부탁드리며, 앞으로 연구뿐만 아니라 사회에 대한 기여와 봉사의 책임을 잊지 않는 가슴 따뜻한 과학기술인이 되어 달라고 당부했다. <>

 

                                  external_image

콘텐츠담당 : 대외협력팀(T.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