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

True satisfaction is knowing that your research at GIST will make a world of difference

연구지원

[동향 / 대표성과] 광복 70년 과학기술 대표성과 70선 사례집

  • 조영욱
  • 등록일 : 2016.07.06
  • 조회수 : 1763

미래창조과학부가 2015년 광복 70년을 맞이하여 과학기술 대표성과선정위원회를 구성하여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성과 70선을 선정했다.

대표성과 70선은 지난 70년 간의 성과 중 국가 경제발전 기여도가 과학기술 성과를 중점으로 선정하되, 개인적으로 우수한 업적을 이룬 과학자들의 연구성과(70선 중 5*)도 포함하였다.

* -아이링이론(화학, 이태규), 산림녹화 임목육종(현신규), 리군이론(수학, 이임학), 게이지이론의 재규격화(물리학, 이휘소), 한탄바이러스백신(이호왕)

 

ㅇ 광복후 40~50년대: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지원을 통한 성과보다는 기관이나 개인 차원의 연구 성가 나타나는 시기로, 황폐한 민둥산을 푸르게 만드는데 기여한 현신규 박사의 산림녹화 임목육’, 한글 기계화의 효시기계식 한글타자기(공병우 타자기)’5개의 성과가 선정되었다.

ㅇ 60년대: 과학기술전담부처와 과학기술연구기관이 설립되고, 정부 주도로 농업과 초기 공업화 진흥정책이 추진된 시기로, 채소 종자의 자급기반을 마련한 우장춘 박사의 일대잡종 배추 품종’, 화학장치산업 발전의 모태가 된 화학비료 생산기술’, 섬유업계의 혁신을 부른 나일론 생산기술8개 성과가 선정되었다.

ㅇ 70년대: 조국 근대화 경제개발 정책과 함께 자동차·조선, 토목건설 등 중화학공업 육성이 본격화되는 시기로, 국내 최초의 고유모델 국산차(포니)’, ‘초대형 유조선’, 경부고속도로’, 주곡자립 달성으로 식량부족 문제를 해결한 통일벼기술 등 9개 성과가 선정되었다.

ㅇ 80년대: 정부의 기술드라이브 정책과 함께 연구개발 지원 규모가 대폭 확대되고 민간의 개발 활동도 활발해지는 시기로, 디램(DRAM) 메모리 반도체’, ‘국산전전자교환기(TDX) 상용화’, 감염병 예방의 효시인 "탄바이러스백신17개의 성과가 선정되었다.

ㅇ 90년대: 탈추격형 기술혁신 논의가 활발해지고 신산업 창출을 위한 통신, 생명공학 기술 우주·원자력 등 거대과학기술 개발 노력이 본격화되는 시기로 코드분할다중접속(CDMA)기술 상용화’, ‘라이신/산 발효기술’, 우리별 인공위성’,‘한국형 표준원전(KSNP)’10개 성과가 선정되었다.

 2000~2010년대: 글로벌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투자가 지속적으로 늘고 정보통신기술(ICT)·바이오기술(BT)·나노기술(NT) 등의 신기술과 다양한 형태의 ·복합 기술 개발이 가속화되는 시기로, ‘인간형 휴머노이드(휴보)’, ‘초음속 고등훈련기(T-50)’, 글로벌신약(팩티브)’,‘나로호’,‘대한민국 표준시(KRISS-1) 제정21개 성과가 선정되었다.


* 첨부: 광복 70년 과학기술 대표성과 70선 사례집

콘텐츠담당 : 연구기획팀(T.2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