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

True satisfaction is knowing that your research at GIST will make a world of difference

연구지원

[동향 / AI] 알파고의 충격: 인공지능의 가능성과 한계

  • 이승윤
  • 등록일 : 2016.07.04
  • 조회수 : 1749


[KISDI Premium Report]


알파고의 충격:
인공지능의 가능성과 한계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최계영


Summary

■ 개 요
 최근 알파고의 충격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지나친 과신이나 부작용에 대한 막연한 불안이 팽배하고 있음. 특히 딥러닝은 인간만이 학습할 수 있는 추상적 개념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여겨지던 정확한 불류와 식별작업을 컴퓨터를 통해서도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인공지능의 범용성에 큰 진전을 가져옴.

■ 알파고를 통해 인공지능 혁신 이해하기
 알파고는 딥러닝의 범용성이 바둑에 적용된 사례로, 과거의 논리 기반 인공지능에 딥러닝, 강화학습 등 새로운 기술의 조합으로 직관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도 일부 해결 가능성을 엿보게 함. 

■ 인공지능의 가능성과 한계
 인공지능의 발전이 지속될 경우 개인/기업은 자신만의 문제 해결을 위해 데이터 및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의 특정 조합으로 비즈니스 및 경제활동을 영위할 것임. 그리고 미래 경제에서는 알파고가 바둑 기보를 생성하듯이 기계가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데이터를 모든 사람과 컴퓨터가 접하고 학습하여 결과를 생성하는 수확체증이 일어나 혁신이 폭발적, 지수적 양상을 띄게 될 전망.
 하지만 인공지능은 의식이 없는 고등지능의 개발에 불과한 것으로, 유용성과 한계를 동시에 내포함. 귀납, 가추에 의존하는 기계학습의 한계, 상식의 부재로 인한 언어 이해의 한계 등으로 인공지능은 완결성을 요구하는 인간직무에는 대체에 이르기 어려움.

■ 시사점
 인공지능의 불완전성으로 "인간만이 할 수 있는일"에서 "인공지능만이 할 수 있는일"로의 즉각적인 이동, 대체는 가능성이 낮아 경제, 사회가 대응할 여지가 있을것으로 판단.
 인공지능 관련 정책 방향은 기술 개발, 인력 양성, 교육 시스템 변화, 사회재교육, 복지 시스템 재점검, 데이터 플랫폼, 공공서비스에 적용 등 큰 방향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후 세부 장기 정책을 수립,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 함.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http://www.kisdi.re.kr/kisdi/fp/kr/publication/selectResearch.do?cmd=fpSelectResearch&sMenuType=2&controlNo=13909&langdiv=1

콘텐츠담당 : 연구기획팀(T.2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