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ultimedia mosaic of moments at GIST
GIST, '고등광기술연구원(APRI)' 공식 출범… 미래 광융합기술 이끌 APRI 2050 비전 선포
"밤하늘의 별처럼 선명하게 드러낸다" 고등광 김기현 선임연구원 연구팀, '검은 배경 신속항원키트' 세계 최초 개발
□ 김민곤 교수팀, 그래핀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센서 기술 개발 - 서로 다른 분야간 융합연구로 신기술 개발에 성공 - KAIST와 공동연구, 학계 권위지 ACS Nano 및 Small에 게재 <김민곤 교수&...
기술이전·사업화 1위 비결은" 마케팅" (박성주 GTI 소장, 한국대학신문 인터뷰) “기술을 사업화 하는데 중요한 건 마케팅이다. 두루뭉술한 내용과 학술적인 용어를 고객의 관점에서 얼마나 보다 쉽게 설명하고 이해시킬 수 있느냐가 사업의 성공여부를 결정한다" 19일 박성주 광주과학기술원(이하 광주과기원, GIST) 내 과학기술응용연구소...
나눔을 실천하는 대학양봉렬 광주과학기술원 대외부총장 김용. 아시아인으로는 처음으로 세계적 명문대학인 미국의 다트머스대학교 총장에 오른 한국인 후예. 최근 세계은행 총재로 지명돼 백인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국제적 기관의 수장에 지명된 자랑스런 이름. 한국인 후예로서 ‘세계 최초’의 역사를 써 가고 있는 그를 보면, 우리에게 가슴 뿌듯한 일이 아닐 수 없다...
“GIST대학, 미국 Caltech 버금가는 대학될 것” (대학저널 인터뷰) 이관행 GIST대학장 세계대학평가 ‘세계 12위’·4년 연속 아시아 최고 달성한 GIST 기반으로 출범Caltech 벤치마킹해 소수정예교육 도입, 최우수 인재 선발해 과학엘리트로 양성대학 출범 3년 만에 신입생 수준 연·고대급 향상, 국내 정상급 명문대 부상 평...
초파리를 이용한 뇌와 본능에 관한 연구 GIST 생명과학부 김영준 교수 많은 과학자들이 뇌과학ㆍ신경과학을 우주과학과 함께 인류의 마지막 지적 프론티어로 꼽는다. 뇌의 신비를 밝히는 것은 곧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다. 뇌는 외부 감각기를 통해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ㆍ분석해 동물이 처해진 환경과 상황에 맞추어 적절한 행...
국제적 식견을 가진 지도자 (양봉렬 대외부총장 광주매일신문 시론 컬럼) 금년에 우리는 국회의원 선거와 대통령선거를 차례로 치를 예정이다. 이 두 선거는 앞으로 우리가 직면하게 될 대외여건이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매우 유동적이고 불확실한 가운데 진행되게 된다. 즉 금년에는 유난히도 주요국가의 지도자 교체가 많다. 지난주에는 러시아대통령선거...
[과학자가 부러워하는 과학자] 드물게 이론·실험 다 잘하는 학자, MIT 유학시절에도 성적으로 "히트" <1> 김창경 교과부 2차관-노도영 GIST 교수 김창경 교과부 2차관이 이론과 실험 능력을 갖춘 실력파 과학자로 꼽은 노도영 교수 과학자가 실험실에 홀로 틀어박혀 자기 연구만 하던 시대는 지났다. 동료 과학자와 얼...
동남아의 부상과 우리나라(광주매일신문 기고) 양봉렬 광주과학기술원 대외부총장 최근 동남아가 세계적인 관심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 이유는 두 가지이다. 첫 째는 지정학적인 면에서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기 때문이다. 동남아는 동서교류의 요충지로 역사적으로 강대국들의 각축장이었으며, 지금은 중국과 미국 간에 영향력 경쟁이 치열하...
전창덕 교수, YTN사이언스 TV 출연 (T림프구 활성인자 발견) YTN 사이언스TV 동영상 보기 http://www.sciencetv.kr/_comm/pop_mov.php?s_mcd=0187&s_hcd=&key=201201271541273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