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ultimedia mosaic of moments at GIST
GIST, '고등광기술연구원(APRI)' 공식 출범… 미래 광융합기술 이끌 APRI 2050 비전 선포
"밤하늘의 별처럼 선명하게 드러낸다" 고등광 김기현 선임연구원 연구팀, '검은 배경 신속항원키트' 세계 최초 개발
[ET단상] 작은 것이 아름답다 지난 주말 학생들과 함께 황금빛으로 물든 학교 주변 가을 들판을 산책했다. 고개 숙인 누런 벼들 사이로 커다란 쭉정이들이 눈에 들어온다. 쭉정이는 보기에는 크고 낱알도 굵을 것 같아 보이지만 정작 속은 텅 비어 있다. 요즘 유행하는 말로 허당이다. 반면에 키 작은 벼들은 속이 꽉 찬 열매를 하나 가득...
연구역량 세계 7위 GIST는 광주의 자랑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는 지난 9월 중순 세계적인 대학평가기관인 QS가 발표한 2012년도 세계 대학평가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지수’부분에서 세계 7위를 기록하였다. 이는 2008년 15위를 기록한 후 꾸준히 상승한 결과로 아시아에서는 5년 연속 부동의 1위를 차지한 것이며, GIST의 ...
외교 대통령 DJ를 기리며 양봉렬 광주과기원 대외부총장 지난 8월 18일은 김대중 전대통령께서 서거한 지 3주년이 되는 날이다. 이를 전후하여 국내외에서 그 분의 업적을 기리면서 애도하는 다양한 추모행사가 개최되었다. 국가부도위기를 초래한 IMF 외환위기의 조기극복, 민주주의와 인권신장, 그리고 남북화해협력시대를 연 최초의 남북정상회담 개...
우려스러운 남중국해 영토 분쟁(광주매일신문 기고) 양봉렬 광주과학기술원 대외부총장 지난 7월 9일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개최된 제 45차 ASEAN 외교장관회의가 남중국해에서의 영토분쟁관련 회원국간 이견으로 45년 역사상 최초로 공동성명을 발표하지 못하였다. 필리핀 외무성발표에 따르면 지난 4월에 황옌다오(黃巖島:스카보러섬)인근에서 발생한 중국과 필리...
문화기술(CT)연구원 설립 추진 아시아 문화도시 조성사업의 핵심이 될 CT연구원의 광주 설립이 지난해 말 확정됐다고 전해지면서 큰 기대를 모았는데요. 그런데 정부 부처 간의 입장 차이로 아직까지 국책연구기관으로 독자 설립은 어려운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윤주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인체의 세밀한 움직임을 컴퓨터로 입력하는 작업이 한창입니다....
노도영 교수 연구팀, 단일 펄스를 활용한 결맞음 회절 이미징 구현 광주과학기술원(GIST․총장 김영준) 노도영 교수 연구팀은 13.9 나노미터의 파장을 가지고 8 피코초 펄스폭을 가지는 연 엑스선 레이저 단일 펄스를 활용하여 55 나노미터의 공간 분해능을 가지는 결맞음 회절 이미징을 구현했다. 공간 분해능의 경우 회절신호를 측...
정성호 교수, 한국레이저가공학회 광원상 수상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김영준)은 지난 28일부터 개최된 2011년도 한국레이저가공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정성호 교수(기전공학부)가 광원상을 수상하였다고 밝혔다. 광원상은 레이저가공분야에서 발표된 우수논문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정성호 교수는 레이저 쇼크 피닝에 의한 22...
외교적 측면에서 본 독일 통일의 교훈 (광주매일신문 기고) 양봉렬 광주과학기술원 대외부총장 우리의 6월에는 유난히도 역사적인 일들이 많이 발생하였다. 한국전쟁, 6·10항쟁 등 우리의 삶을 송두리째 바꿔버린 일들 이외에도 분단의 큰 아픔과 고통을 가지고 있는 우리에게 잊을 수 없는 또 하나의 역사적인 사건이 있었다. 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