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ultimedia mosaic of moments at GIST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의 장" GIST 신소재공학과, 전국 대학생 대상 제19회 과학기술 경진대회 개최
GIST, 제59회 아카데미 조찬포럼 개최… 윤종인 전 개인정보보호위원장 초청 강연 열려
□ 국내 연구진이 인체 이식용 전자의료기기의 성능과 안정성을 높이는 전자소자 개발에 성공했다. GIST(지스트, 총장 문승현) 윤명한·이광희 교수 연구팀이 고온·고압의 멸균처리 후에도 체내에서 장시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고성능 플라스틱 전해질 전자소자를 개발했다고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밝혔다....
□ GIST(지스트, 총장 문승현) 기계공학부 이용구 교수 연구팀이 키리가미(kirigami) 구조와 형상기억고분자(Shape memory polymer)를 이용하여 기존의 분지형 스텐트에서 발생하는 삽입 문제를 해결하는데 성공했다....
□ GIST(지스트, 총장 문승현) 신소재공학부 권인찬 교수 연구팀이 결막염 및 각막염 치료를 위한 콘택트렌즈 개발에 성공하여 향후 콘택트렌즈를 이용한 안구질환 치료의 범위가 대폭 넓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 GIST(지스트, 총장 문승현) 신소재공학부 이재석 교수 연구팀이 이창열 박사팀(고등광기술연구소, APRI)과 공동으로 페로브스카이트가 내포된 고분자입자를 합성하고 3차원 광결정을 제조하여 TV용 광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고색순도 광결정 필름 개발에 성공하였다...
□ GIST(지스트, 총장 문승현)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송영민 교수 연구팀은 질화갈륨 광전극의 기하학적 형태에 따라(원뿔의 비율, 주기, 지름 및 높이) 빛의 흡수율과 흡수 깊이가 달라지는 특성을 가진다는 사실을 밝히고 원뿔대의 나노구조가 효율적인 수소생산을 위해 가장 적합한 구조임을 밝혔다....
□ 발열제품 및 빌딩의 온도를 낮추어주는 친환경 냉각 소재에 유연함과 다채로운 색깔이 더해졌다. GIST(지스트, 총장 문승현) 송영민 교수(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연구팀이 전원 공급이 필요 없는 구부러지는 색채 냉각 소재를 개발했다고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밝혔다....
□ GIST(지스트, 총장 문승현) 화학과 홍석원 교수와 신소재공학부 이광희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태양전지로 각광받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취약한 수명을 높인 신규 정공 수송층 물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모듈 효율을 높이는 기술이 개발됐다. GIST(지스트, 총장 문승현) 이광희 교수(신소재공학부) 연구팀이 전기화학적 패턴 방식을 이용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모듈 효율을 높이는 모듈 구조를 개발했다고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밝혔다....
□ GIST(지스트, 총장 문승현) 고등광기술연구소(APRI, 소장 석희용)의 박관섭 박사(제1저자)와 엄태중 박사(교신저자) 연구팀이 뇌조직을 잘 투과하는 레이저 빛의 파장을 통한 새로운 혈관 조영 광단층 영상기술을 개발하여 해마의 구조와 혈액의 흐름을 형광물질의 추가 주입없이 실시간 고해상도로 촬영하는데 성공했다....
□ GIST(지스트, 총장 문승현) 지구‧환경공학부 이재영 교수 연구팀이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원장 배성환)과 공동연구를 통해 흑연나노섬유를 이용하여 수소연료전지 공기극의 물 관리 문제를 개선하는데 성공했다....
□ GIST(지스트, 총장 문승현) 고등광기술연구소(APRI, 소장 석희용) 이창열 박사 연구팀은 이재석 교수(GIST 신소재공학부)와 공동으로 발광다이오드(LED)용 고품질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합성법 및 양자점 박막 개발에 성공하였다....
□ 스스로 휘어지거나 모양이 변하는 전자기기의 개발이 가능해졌다. GIST(지스트, 총장 문승현) 기계공학부 이종호 교수 연구팀이 플렉서블 전자기기에 활용될 수 있는 ‘자가 변형 필름’을 개발하였다고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밝혔다....
□ GIST(지스트, 총장 문승현) 고등광기술연구소(APRI, 소장 석희용) 이창열 박사 연구팀은 다차원 페로브스카이트 소재의 광학적 특성 비교를 통해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로 활용 가능한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의 상온 발광원리를 규명하였다....
□ 국내 연구진이 크리스퍼(CRISPR) 기반 유전자 교정기술의 핵심 단백질 중 하나인 Cas12a의 DNA 표적 탐색 및 절단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 GIST(지스트, 총장 문승현) 고등광기술연구소(APRI) 이상화 박사 연구팀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테라그노시스 연구단 정철현 박사팀 및 한양대 화학과 배상수 교수팀과 공동으로 단일분자 ...
□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 정자의 형성과정에 대해 분자수준의 핵심원리가 보고됐다. GIST(지스트, 총장 문승현) 조정희 교수와 김지혜 대학원생 연구팀이 정자의 형성과정에서 머리와 꼬리를 이어주고 안정화시키는 정자 특이단백질을 규명했다고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