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ultimedia mosaic of moments at GIST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의 장" GIST 신소재공학과, 전국 대학생 대상 제19회 과학기술 경진대회 개최
GIST, 제59회 아카데미 조찬포럼 개최… 윤종인 전 개인정보보호위원장 초청 강연 열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송영민 교수 연구팀은 다채로운 색상으로 구현된 이미지에 맨눈으로 볼 수 없는 적외선 정보를 담은 보안용 차세대 멀티 스펙트럼 위변조 방지 디스플레이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암 치료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환자들이 항암치료 이후에 암전이 또는 재발로 인해 고통받고 있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생명과학부 남정석 교수 연구팀은 대장암 환자 암 조직의 유전체 프로파일링을 통해 항암치료 저항성 바이오마커(생체 표지자) CD45를 발굴하였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상승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대형 산불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그 피해가 더욱 커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산불 발생에 영향을 끼치는 주기적 기후 패턴에 대한 분석결과를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제시했다....
눈물을 이용한 비침습적 방법으로 혈당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기존 침습적인 방법을 대체하여 채혈시 발생할 수 있는 통증에 대한 부담감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의생명공학과 정의헌 교수팀은 한양대 생명공학과 이동윤 교수(일릭사 파마텍)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인체에 무해하고 전극이 필요 없는 ...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에너지융합대학원 김형진 교수 연구팀은 차세대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으로 주목받고 있는 실리콘 음극의 성능과 내구성을 개선하였다....
뇌혈류의 변화와 속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광영상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뇌졸중 등 혈관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의생명공학과 정의헌 교수팀은 레이저 광선을 뇌에 조사하여 생기는 간섭무늬인 스페클을 분석하여 대뇌표면에 뇌경색이 발생했을 때 뇌혈류의 변화와 속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
국내 연구팀이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차세대 생체전자인터페이스 소자로 주목받는 인체 이식형 전자소자의 성능과 안정성을 높이는데 성공했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부 윤명한 교수 연구팀은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ICL)의 마틴 히니(Martin Heeney) 교수(現 지스트 신소재공학부 객원교수) 연구팀과 신규 유기물 혼합형 전도체를 개발하고 분자구조 형...
국내 연구진과 중국 쓰촨대학병원의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발병 후 진행 속도가 빠르고 단기간 내 사망에 이르게 하는 치명적인 희귀암인 미분화 갑상선암의 조기진단 및 새로운 치료법이 제시됐다....
□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고등광기술연구소(APRI, 소장 이영락)의 이창열 수석연구원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의 성장 메커니즘 규명을 통해 결정 성장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매우 얇은 두께의 쉘(shell)을 가진 코어-쉘 페로스브카이트 양자점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기계공학부 강상규 교수 연구팀은 높은 시스템 전기효율을 갖는 캐스케이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시스템을 개발하고 주요 운전조건인 전류밀도, 외부개질율, 증기/탄소 비율이 스택 및 시스템의 전기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생명과학부 이광록 교수 연구팀은 DNA 손상 복구과정에서 AP 핵산절단효소가 손상부위를 단순히 절단하는 것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분해하여 DNA 틈새 구조를 생성, 복구과정을 조절하는 기전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 김기선) 화학과 서지원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리형 펩타이드의 세포막 투과 및 경구투여 원리를 규명하였다....
□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 김기선) 기계공학부 강상규 교수 연구팀은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알칼라인 수전해 시스템의 운전 성능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예측할 수 있는 수치해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 김기선) 물리‧광과학과 이종석 교수와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박제근 교수 연구팀은 강유전성과 반강자성이 동시에 나타나는 다강성 상태를 원자층 두께 반데르발스 물질에서 세계 최초로 발견하였다....
□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 김기선) 생명과학부 조정희 교수와 홍성현 대학원생 연구팀이 정소에서만 생성되는 특이한 비암호화 RNA가 Y염색체를 가진 정자의 기능을 도와 출생성비 균형에 관여함을 규명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