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ultimedia mosaic of moments at GIST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의 장" GIST 신소재공학과, 전국 대학생 대상 제19회 과학기술 경진대회 개최
GIST, 제59회 아카데미 조찬포럼 개최… 윤종인 전 개인정보보호위원장 초청 강연 열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 임기철) 의생명공학과 오창명 교수 연구팀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을 발견하고, 이를 억제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시해 주목받고 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비만, 당뇨와 함께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대사 질환이지만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개발되지 않아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
"반도체, 무한 복사하는 시대 온다" 지스트-MIT, '원격 에피택시' 상용화 성큼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 임기철)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이동선 교수팀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이하 MIT)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질화갈륨 원격 에피택시’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웨이퍼 위에 질화갈륨 반도체를 성...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 임기철)가 영상 속 픽셀들의 관계를 ‘하이퍼볼릭(Hyperbolic) 공간’에서 새로운 방식으로 이해해 이미지 처리 성능을 크게 높인 인공지능(AI) 알고리즘 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하이퍼볼릭 공간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3차원 공간과 달리 굽은 형태를 지닌 비(非)유클리드 공간 중 하나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 임기철) 신소재공학부 이상한 교수가 카이스트 서장원 교수 등과 함께 ‘광생성 캐리어’ 손실을 억제하는 새로운 기술을 적용해 세계적인 수준의 효율과 수명을 실현한 ‘유기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이하 페로브스카이트) 광전극’을 개발했다. 전 세계적으로 탄소 중립이 주목받고 있는 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에너지융합대학원 박찬호 교수와 조지아공대 장승순 교수 공동연구팀이 이리듐 사용량을 절감하면서도 기존보다 무려 1.5배 높은 활성도를 지닌 이리듐 촉매를 개발했다. 이리듐은 고온‧고압과 부식에 강하고 화학 반응이 잘 일어나 수전해에 적합하기 때문에, 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데 널리 적용되는 ‘고분자전해질막 ...
양자메모리 분야의 석학으로 널리 알려진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함병승 교수가 양자역학의 핵심 현상 중 하나인 ‘양자지우개’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제시했다. ‘양자지우개(Quantum Eraser)’는 양자역학에서 머릿속 생각으로 진행하는 사고실험(Thought experiments) 중...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직무대행 박래길) 생명과학부 전창덕 교수 연구팀이 ‘면역사령관’ T임파구가 뱀이나 곤충처럼 ‘허물벗기(molting)’를 해야만 활성화되고 증식할 수 있으며 허물벗기에 실패하면 죽게 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허물벗기는 동물이 몸의 일부를 벗겨냄으로써 성장과 재생을 반복하는 ...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직무대행 박래길)가 2024 QS 세계대학평가(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3)의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Citations per Faculty)’ 부문에서 국내 1위 및 세계 5위로 평가됐다. QS 세계대학평가는 영국 글로벌 대학평가 기관인 QS(쿼커렐리 시먼즈, Qu...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직무대행 박래길) 지구·환경공학부 송철한 교수 공동연구팀은 우리나라의 초미세먼지 예보 정확도를 향상하기 위해 2019년부터 ‘한국형 대기화학 모델링 시스템(K_ACheMS, Korean Air Chemistry Modeling System)’을 개발해왔다. 이 시스템은 세계적으로 초미세먼지 및...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직무대행 박래길) 물리․광과학과 문봉진 교수 연구팀이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 총장 이광형) 화학과 박정영 교수 연구팀과 함께 초미세 계단형 구리(Cu) 촉매 표면이 이산화탄소(CO2) 분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은 상압 전자터널링 현미경 기술을 활용해 머리카락 두께의 10만 분의...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직무대행 박래길) 차세대에너지연구소 강홍규 박사, 이광희 소장과 영국 임페리얼컬리지 런던 공동연구팀이 스스로 얇은 층을 형성하는 물질을 활용해 유기 태양전지의 코팅 공정을 간소화하고 높은 효율과 긴 수명을 확보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재료과학 분야의 저명한 국제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직무대행 박래길) 융합기술학제학부 이규빈 교수 연구팀은 학습한 적 없는 ‘모르는 데이터’를 구별해 내는 AI 기술을 개발했다. AI모델은 여러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블록은 똑같은 작업을 수행한다. 컨베이어 벨트에 재료(데이터)가 들어오고, 여러 사람(블록)이 분업하여 순서대로 물건을 완성하는...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직무대행 박래길) 유승준 교수와 홍석원 교수 공동연구팀은 레독스 활성 유기분자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전해질을 개발해 고용량‧고출력의 레독스 전지를 구현하는데 성공했다. 고출력이 가능한 슈퍼커패시터에 2차전지의 ‘산화-환원’의 에너지 저장‧방출 메커니즘을 더해 용량을 극대화한 하이브리드 전지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직무대행 박래길)가 액체막에 고출력 레이저를 집속(모아서 가둠)시켜 극자외선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극자외선은 파장이 10∼124㎚(나노미터, 1㎚는 10억분의 1m)에 해당하는 짧은 파장의 빛으로, 반도체 기판에 회로를 그리거나 나노미터 해상도로 물질을 관측하는 이미징 등 정밀한 작업에 활용된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직무대행 박래길) 생명과학부 김용철 교수 연구팀은 미국 칼텍(캘리포니아공과대) 윌리엄 고다드 교수 연구팀과 함께 새로운 우울증 치료제의 실마리가 될 ‘KOR b-아레스틴 역작용제’를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