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ultimedia mosaic of moments at GIST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의 장" GIST 신소재공학과, 전국 대학생 대상 제19회 과학기술 경진대회 개최
GIST, 제59회 아카데미 조찬포럼 개최… 윤종인 전 개인정보보호위원장 초청 강연 열려
광주과기원, 과학고교장단협의회 초청간담회20개 과학고교장들과 과학교육진흥방안 논의 전국 20개 과학고 수장들이 광주과학기술원을 방문해 연구시설을 둘러보고 과학영재 교육에 대해 광주과기원과 공감대를 형성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원장 허성관)은 15일 전국과학고교장단협의회(회장 홍달식 서울과학고교장)를 초청, 과학영재 교육...
이탁희 교수팀, 분자전자소자 연구 큰 기여 1개의 분자 층 구조에서 전자의 흐름 규명 세계적 학술지 미국화학회지 최근호에 실려 노트북 크기의 슈퍼컴퓨터, 펜티엄급 PC가 내장된 핸드폰 또는 손목시계, 혹은 몸속을 돌아다니며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담당의사에게 알리는 극소 로봇컴퓨터... 광주과기원 이탁희 교수팀이 공상과학 소설 속에...
“뇌를 쉽게 알려드립니다” 이색 강좌 광주과기원, ‘뇌의 비밀’ 공개강좌 마련 뇌 주간 맞아 세계 57개국과 동시개최 “21세기 자연과학의 가장 중요한 연구과제와 화두는 인간의 뇌입니다. 인간의 뇌기능은 다른 동물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하고 뇌에 대한 연구는 아직 상당부분이 미지의 상태로 남아 있는 신비 그 자체인 까닭입니다” ...
2007년3월10일(토)자 중앙일보 30면(오피니언)에 이종민 교수의 과학칼럼이 실렸습니다. 원문을 아래에 게재합니다. [과학칼럼] 스스로 빛을 내는 가로수 이종민 광주과학기술원 고등광기술연구소 소장 어린 시절 여름이면 시골에서 별처럼 빛을 깜박이며 날아다니는 반딧불이의 묘기를 자주 봤다. 그 아름다운 황록색 빛의 기억은 아직도 생생하다...
중앙일보 2007.3.3(토)일자에 실린 이종민 소장님의 과학칼럼 원문을 아래에 게재합니다. [중앙일보 과학칼럼] 극미량을 탐지하는 빛 지문 이종민 광주과학기술원 고등광기술연구소장 겸 신소재공학과 교수 봄이 왔다. 대지를 촉촉이 적신 봄비가 봄을 재촉하는 듯하다. 그런데, 봄바람을 타고 오는 초대받지 않은 손님도 있다. 중국의 사막에서...
[대학연구소]광주과학기술원 과학기술응용연구소 지역특화산업 실용화 역량집중2014년까지 10년간 480억원 투입 광주과학기술원(GIST) 과학기술응용연구소(소장 이선규)는 대학 및 연구소의 연구성과를 산업화하기 위해 지난 2005년 1월 문을 열었다. 오는 2014년까지 10년간 총 480억원을 투입해 연구성과의 실용화 사업을 벌일 예...
중앙일보 2007.2.24일자에 게재된 이종민 소장님의 과학칼럼 원문을 게재합니다. [과학칼럼] 찰나의 세계를 보여주는 빛 [중앙일보, 2007.2.24(토)] 이종민 광주과학기술원 고등광기술연구소장 겸 신소재공학과 교수 나는 "스펀지"라는 TV 프로그램을 즐겨 본다. 재미있는 현상을 과학적인 예를 들어 가며 쉽게 설명하기 때문이다. 그...
송우근, 김경웅 교수 ‘금요일 과학터치’ 강사로 광주과기원 송우근(생명과학과) 교수와 김경웅(환경공학과) 교수가 과기부가 개최하는 ‘금요일에 과학터치’ 발표자로 선정돼 서울역 대회의실에서 과학대중들을 대상으로 무료강연에 나선다. 중앙일보 2월23일(금)자 21면에 게재된 기사에 따르면, 과학기술부는 이달 23일부터 우수성과를 많이 내고 있는 ...
광주과기원 신소재공학과 국제 워크숍 개최 "세계적 연구성과 공유 및 공동협력 모색" GIST(광주과학기술원, 원장 허성관) 신소재공학과 BK21첨단재료고등교육사업단은 바이오 및 나노소재 분야의 해외석학을 초빙해 이달 21일부터 23일까지 2박3일동안 국제워크숍(책임교수, 김영하 및 K. 게켈러)을 광주과기원 고등광기술연구소 대강당에서 개최했다....
중앙일보 2007년2월20일자 사회면(12면) 톱기사에 "삼전도비 복구 방법 찿았다" 라는 기사가 게재되었습니다. 이 기사는 붉은색 스프레이 낙서가 되어 있는 삼전도비를 레이저를 통해 원재료의 손상없이 낙서만 지울 수 있다는 고등광기술연구소의 연구결과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홍보협력팀, 2007.2.20><관련 기사>- 중...
중앙일보 2007년 2월17일자 이종민 고등광기술연구소장님의 과학칼럼 원문입니다. [과학칼럼] 나노가 만드는 아름다운 빛깔 이종민 광주과학기술원 고등광기술연구소장 겸 신소재공학과 교수 반짝 추위가 있었지만 입춘이 지나서인지 이내 사그라든다. 벌써 섬진강변 어느 마을에선가는 매화꽃 봉오리가 터질 준비를 하고 있지 않을까. 계절마다 피고 지...
GIST, 꿈나무 과학자들에게 원장상 수여 첨단지역 8개 초교 과학우수학생에 장학금 전달 광주과기원이 지난해에 이어 과학 성적이 우수한 초등학교 어린이에게 원장상 및 장학금을 전달해 학부모들과 교사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GIST(광주과학기술원, 원장 허성관)은 지난 15일에 열린 첨단지역 8개 초등학교 졸업식에 직접 참석해 과학 분야 성...
2006학년도 학위수여식 개최 석사 101명, 박사 24명 고급인재 배출 광주과학기술원(GIST, 원장 허성관)은 오는 14일 오후 2시 광주과기원 행정동 대강당에서 김우식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장관, 안순일 광주광역시 교육감, 이병화 광주광역시정무부시장, 김호식 국민연금관리공단 이사장겸 광주과기원 이사를 비롯한 내외 귀빈 및 학생 등 700여명이 참...
오경환씨, 삼성논문대상서 ‘은상’ 광주과기원 박사과정에서 수학하고 있는 오경환씨가 삼성전자가 매년 실시하고 있는 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 은상을 수상했다. GIST(광주과학기술원, 원장 허성관)에 따르면 정보통신공학과 박사과정 학생인 오경환(31, 吳京煥, 지도교수 송종인)씨가 삼성전자가 개최하는 ‘제13회 삼성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 은상을 수상...
정성호교수, 오광환, 임현덕 연구팀 한국광학회 학술대회 우수논문상 선정 광주과기원 기전공학과 정성호 교수연구팀이 한국광학회가 주관하는 2007년도 한국광학회 동계학술발표회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GIST(광주과학기술원, 원장 허성관)에 따르면 기전공학과 정성호 교수와 지도학생으로 각각 박사과정과 석사과정에서 수학하고 있는 오광환씨, 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