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ultimedia mosaic of moments at GIST
GIST, 장애인·노인 자립생활 돕는 지역 맞춤형 보조기기 개발 본격 착수
"흔들리는 차 안에서도 나만의 공간에서 몰입한다" 김승준 교수 연구팀, 멀미 없이 자유로운 VR 기술 개발
광주과기원 신소재공학과 국제 워크숍 개최 "세계적 연구성과 공유 및 공동협력 모색" GIST(광주과학기술원, 원장 허성관) 신소재공학과 BK21첨단재료고등교육사업단은 바이오 및 나노소재 분야의 해외석학을 초빙해 이달 21일부터 23일까지 2박3일동안 국제워크숍(책임교수, 김영하 및 K. 게켈러)을 광주과기원 고등광기술연구소 대강당에서 개최했다....
중앙일보 2007년2월20일자 사회면(12면) 톱기사에 "삼전도비 복구 방법 찿았다" 라는 기사가 게재되었습니다. 이 기사는 붉은색 스프레이 낙서가 되어 있는 삼전도비를 레이저를 통해 원재료의 손상없이 낙서만 지울 수 있다는 고등광기술연구소의 연구결과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홍보협력팀, 2007.2.20><관련 기사>- 중...
중앙일보 2007년 2월17일자 이종민 고등광기술연구소장님의 과학칼럼 원문입니다. [과학칼럼] 나노가 만드는 아름다운 빛깔 이종민 광주과학기술원 고등광기술연구소장 겸 신소재공학과 교수 반짝 추위가 있었지만 입춘이 지나서인지 이내 사그라든다. 벌써 섬진강변 어느 마을에선가는 매화꽃 봉오리가 터질 준비를 하고 있지 않을까. 계절마다 피고 지...
GIST, 꿈나무 과학자들에게 원장상 수여 첨단지역 8개 초교 과학우수학생에 장학금 전달 광주과기원이 지난해에 이어 과학 성적이 우수한 초등학교 어린이에게 원장상 및 장학금을 전달해 학부모들과 교사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GIST(광주과학기술원, 원장 허성관)은 지난 15일에 열린 첨단지역 8개 초등학교 졸업식에 직접 참석해 과학 분야 성...
2006학년도 학위수여식 개최 석사 101명, 박사 24명 고급인재 배출 광주과학기술원(GIST, 원장 허성관)은 오는 14일 오후 2시 광주과기원 행정동 대강당에서 김우식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장관, 안순일 광주광역시 교육감, 이병화 광주광역시정무부시장, 김호식 국민연금관리공단 이사장겸 광주과기원 이사를 비롯한 내외 귀빈 및 학생 등 700여명이 참...
오경환씨, 삼성논문대상서 ‘은상’ 광주과기원 박사과정에서 수학하고 있는 오경환씨가 삼성전자가 매년 실시하고 있는 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 은상을 수상했다. GIST(광주과학기술원, 원장 허성관)에 따르면 정보통신공학과 박사과정 학생인 오경환(31, 吳京煥, 지도교수 송종인)씨가 삼성전자가 개최하는 ‘제13회 삼성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 은상을 수상...
정성호교수, 오광환, 임현덕 연구팀 한국광학회 학술대회 우수논문상 선정 광주과기원 기전공학과 정성호 교수연구팀이 한국광학회가 주관하는 2007년도 한국광학회 동계학술발표회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GIST(광주과학기술원, 원장 허성관)에 따르면 기전공학과 정성호 교수와 지도학생으로 각각 박사과정과 석사과정에서 수학하고 있는 오광환씨, 임...
동아일보 2007년2월12일(월) 35면(오피니언)에 노도영 교수님의 과학칼럼이 게재됐습니다. 아래는 원문입니다. [동아일보과학세상] X선, 나노세계를 보는 눈 노도영 광주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교수 최근 나노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의 세계가 일반인에게 성큼 다가왔다. 우리가 매일 갖고 다니...
중앙일보 2007.2.10(토) 일자 30면 오피니언 면에 이종민 고등광기술연구소 소장님 칼럼이 게재됐습니다. 아래는 원문 입니다. [과학칼럼] 빛과 지구 온난화 이종민 광주과학기술원 고등광기술연구소장 겸 신소재공학과 교수 최근 지구 온난화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다. 2일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지금과 ...
지스트 고등광기술연, 광양자빔특수연구동 기공식세계 6대 레이저 메카로 부상, 미래융합기술 개발한국광학회 학술발표 및 광학기기 전시회도 열려 레이저 연구관련 세계 6대 강국진입과 정보통신, 생명, 나노기술 등 첨단기술들과 융합하여 미래 기술과 산업을 열어줄 핵심 연구시설로 평가받고 있는 광주과기원의 ‘고출력 극초단 레이저 연구시설’ 구축 사업이 ...
중앙일보 2007년2월3일(토)자에 실린 이종민 고등광기술연구소장님의 과학칼럼 원문을 아래에 게재합니다.[과학칼럼] 스타워즈가 현실로 빛은 우주 탄생과 함께 방출됐다. 빛은 생명의 원천이다. 그러면 빛은 과연 무엇일까? 이 오랜 수수께끼는 1900년대 들어 아인슈타인을 비롯한 유명 과학자들에 의해 비로소 풀렸다. 빛은 전자파(파동)이면서 입자(알갱...
광주과기원, 전남대, 전남대병원 공동연구 협약광주과학기술원과 전남대학교, 전남대병원은 최근 의대 덕재홀에서 의료산업 분야 공동연구와 교육협력을 위한 협약식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이번 협약식으로 세 기관은 의료산업 분야의 연구 및 교육정보 공유를 통해 첨단 의료산업제품과 고급인력양성에 주력할 계획이다.<홍보협력팀, 2007.2.5><언론보...
광주과기원 김동유 교수연구팀 미래전자산업을 이끌 차세대 유기메모리소자 개발기존 유기 소자에 비해 백만배 속도 향상세계적 학술지 네이처도 획기적 성과 평가 광주과기원 연구팀이 지능형포장기술, 전파무선식별태그, 플라스틱 대형스크린 등과 같은 미래 전자산업 기술의 실현과 상용화에 핵심기반 기술인 차세대 유기메모리소자의 개발에 성공해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KTV 한국정책방송(ktv.go.kr) 1월24일자 11시40분 과학기술뉴스에 신소재공학과 이광희 교수의 연구성과가 무려 4분에 걸쳐 자세히 소개됐습니다. 아래에 동영상을 다시 볼 수 있는 주소를 게재합니다.<홍보협력팀, 2007.1.30>- 아 래 - - 타이틀 : 2006 NSC 논문게재 우수 연구원 소개 - 이광희 교수 - 주소: ...
2007년1월26일자 동아일보 20면에 금요일마다 연재되는 [연구실X파일]에 환경공학과 김경웅 교수 기고문이 게재됐습니다. 아래에 기고원문을 게재합니다.<홍보협력팀, 07.1.26>------ 기고 원문 -------[연구실 X파일]국제팀워크 위해서라면 바퀴벌레 튀김도… 김경웅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 교수 국제환경연구소장 오늘 특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