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ultimedia mosaic of moments at GIST
GIST, 장애인·노인 자립생활 돕는 지역 맞춤형 보조기기 개발 본격 착수
"흔들리는 차 안에서도 나만의 공간에서 몰입한다" 김승준 교수 연구팀, 멀미 없이 자유로운 VR 기술 개발
우운택 교수, 국내 최초 ‘디지로그북’ 개발 전자책 편리함과 아날로그 감성을 결합 8억원 들여 3년 안에 상용화 추진 디지털 기술과 아날로그 감성이 결합된 국내최초의 디지로그북 두 권이 개발돼 대중들에게 선을 보였다. 이 책은 책 내용을 손으로 만지고 냄새를 맡으며 소리로도 들을 수 있게 한 새로운 개념의 차세대 전자책이다. 광주과학기술...
김준하 교수, ‘해수담수화사업’ 제2핵심과제 맡아 340억원 규모, 담수화 공정 및 부품 국산화 연구 공정최적화, 부품 수입대체 및 경쟁력 제고 기대 광주과기원 환경공학과 김준하 교수가 건교부가 추진하고 있는 해수담수화플랜트사업단의 제2핵심과제 책임을 맡아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이 과제는 340억원 규모로 해수담수화 공정 및 부품소재의 국산화...
광주과기원출신 노용영 박사 세계 최소형, 최고성능 유기물 트랜지스터제작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등 상용화에 큰 진전 기대 세계에서 가장 작으면서도 기존의 성능을 100배 이상 향상시킨 최고 속도의 유기물 박막 트랜지스터를 잉크젯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토종 박사에 의해서 개발됐다. 이번 연구 성과는 고성능 트랜지스터를 요구하는...
GIST 신소재 공학과, 나노경진대회 개최 광운대팀 "최우수상" 수상광주과학기술원(GIST, 원장직무대행 문승현)은 16일 개최한 "2007년 GIST 나노과학기술경진대회"에서 광운대 팀 "진리의 빛"이 최우수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8개 대학 10개팀 등 총 44명이 참가한 이 행사에서 광운대팀은 나노소자 제작에서 포토리소그래...
김재일 교수, 연구성과 네이처 게재 생체막 내 이온통로 작용 메커니즘 규명 고혈압, 뇌졸중 등 관련질병 신약개발 기대 뇌졸중, 고혈압, 부정맥 등 생체막 단백질 관련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신약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연구결과가 광주과기원과 미국의 공동연구팀에 의해 규명돼 세계적 과학학술지 네이처지에 게재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원장...
광주과기원 엄수현 교수 국제학술지 편집위원 선임 광주과기원 생명과학과 엄수현 교수가 결정학 분야의 국제학술지 편집위원으로 선임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원장직무대행 문승현)에 따르면 생명과학과 엄수현 교수(41, 사진)가 최근 국제학술지인 결정학저널(The Open Crystallography Journal)의 편집위원으로 선임됐다. ...
광주과학기술원 학사과정은 지역발전과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설립돼야 한다! 성 / 명 / 서2007. 11. 8 광주시민단체협의회전남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문의: 광주시민단체협의회 062-222-1322 성명서 자료원본은 광주시민협 homepage를 통해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ngosimin.or.kr/) 성 명 서 ...
히거신소재연구센터-코오롱 2010년 유기태양전지 상용화 목표 이광희, 히거교수와 공동연구 통해 광주과기원과 코오롱이 손을 맞잡고 유기태양전지의 상용화에 나서기로 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원장직무대행 문승현)에 따르면 원 소속 히거신소재연구센터(센터장 히거, 부센터장 이광희)는 코오롱그룹과 공동연구를 통해 오는 2010년까지 유기태...
광주과기원 최은영씨, 우수논문발표상 ‘영예’ 원격탐사 국제심포서, 토양오염 관측 연구 발표 광주과기원 박사과정 학생이 아시아지역 유력 국제심포지엄에서 우수논문발표상을 받았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원장직무대행 문승현)에 따르면 환경공학과 토양환경연구실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최은영(29, 지도교수 김경웅, 사진)씨가 지난달 31일부터 지난...
동부하이텍 광주과기원 등 12개 대학 학생지원 서포터스 결성, 반도체 관련 연구 본격 지원 동부하이텍 반도체부문(대표 오영환 사장)은 반도체 산업의 핵심인재로 성장할 대학생들을 지원키로 했다. 동부하이텍이 지원할 대학은 광주과학기술원, KAIST, 포항공대, 서울대, 한양대 등 국내 12개 주요 대학이다. 이를 위해 동부하이텍은 ‘랩 네...
한국 테라헤르츠 포럼, 사단 법인화로 한국을 대표하는 공식기구로 자리매김 국내 유일의 테라헤르츠 관련 학술연구모임인 한국 테라헤르츠 포럼이 사단법인화를 통해 한국을 대표하는 공식기구로 위상을 정립해 가기로 했다. 이로써 미래 10대 기술로 꼽히고 있으며 원천기술 선점을 위해 선진국들 사이에 치열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는 테라헤르츠 기술에 대한 국내 연구...
시스템생물학연구소, 연구성과 교류회 개최 김도한 교수 등 관련 전문가들 발표와 토론 광주과기원 시스템생물학연구소(소장 김도한)와 과학재단은 "시스템생물학"을 주제로 제304회 학ㆍ연ㆍ산 연구성과 교류회를 오는 2일 광주과기원 생명과학과 죽현바이오홀에서 개최한다. 이번 교류회에서는 최근 21세기 생물학으로 부상하면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인터뷰]이선규 과학기술응용연구소장 기술사업화 위해 대학과 기업의 새로운 협력모델 창출 “대학과 기업 간의 새로운 협력과 사업화 모델을 만들어내겠습니다.” 최근 광주과학기술원(GIST)과 KT의 전략적 제휴 및 특허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교환한 이선규 과학기술응용연구소장. 그는 “지난 2005년부터 2년간의 노력 끝에 대기업과의...
광주과기원 고등광기술연구소 제3회 테라헤르츠파 기술 워크숍 개최 미래 10대 기술로 평가받고 있는 테라헤르츠파 기술 워크숍이 광주과기원에서 열린다. 특히 이번 워크숍에는 지난 해 국가석학(Star Faculty)으로 선정된 서울대 김대식 교수와 테라헤르츠파 기술 국가지정연구실 책임자인 서울대 박건식 교수, 포항공대 한해욱 교수를 비롯해 한국과학...
광주상의, 광주과학기술원 학사과정 개설을 위한 ‘광주과기원법중개정법률안 국회통과’ 건의 광주상공회의소(회장 직무대행 박흥석)는 10월 29일 광주과학기술원 학사과정 개설을 위하여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위원장 및 위원과 대통합민주신당대표, 한나라당대표, 민주당대표, 민주노동당대표, 창조한국당대표, 광주전남출신국회의원 등에게「광주과학기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