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

True satisfaction is knowing that your research at GIST will make a world of difference

연구지원

[정책 / 기후변화] 미래부 기후변기술로드맵(CTR) 완성

  • 이승윤
  • 등록일 : 2016.07.01
  • 조회수 : 2926

미래부, 기후기술로드맵(CTR) 완성   


미래부는 기후변화 관련 13개 부처에서 수행중인 718개 과제("16년 총 4,833억원)의 연구개발 진행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후변화 대응기술 확보 로드맵(CTR: Climate Technology Roadmap)이 최근 완성되었다고 밝혔습니다. 기후기술로드맵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아래를 참조 부탁드리겠습니다.


10대 기후기술, 50개 세부기술군 현황

10대 기후기술, 50개 세부기술군 현황 표. Ⅰ. 탄소저감 분야: 10대 기후기술, 구분, 50개 세부기술군 등의 항목으로 구성된 표. 내영은 항목 순, 1. 태양전지, 실리콘 태양전지, 1-1.  실리콘 사용량 축소  1-2.  모듈 제조비용 절감  1-3.  초박형 전지 효율 제고, 차세대 태양전지 1-4.  CIGS 박막 태양전지 1-5.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1-6.  유기 태양전지 1-7.  염료감응 태양전지 1-8.  비정질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 | 2. 연료전지, 상용 연료전지, 2-9.  고분자연료전지 스택 고성능화 및 저가화 2-10.  발전용 용융탄산염/인산형 연료전지 출력·내구성 향상 2-11. 수소 제조 및 저장 비용 절감, 차세대 연료전지 2-12. 차세대 연료전지 2-13.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2-14. 연료전지 복합발전 | 3. 바이오연료, 바이오연료 생산, 3-15. 미세조류 바이오리파이너리 3-16. 바이오연료 생산 플랜트 신규 바이오매스 3-17. 미활용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3-18. 신규 바이오매스 자원 대량 확보 | 4. 이차전지, 중․소형 이차전지, 4-19. 리튬이온전지 성능 고도화 4-20. 초고용량 커패시터 에너지밀도 향상 4-21. 차세대 이차전지 에너지밀도 향상, 대용량 이차전지(ESS), 4-22. ESS 저가화․장수명화․고효율화 4-23. 차세대 대용량 이차전지 | 5. 전력IT, EMS, 5-24. 건물/가정용 EMS 에너지 절감률 향상 5-25. 공장용 EMS 에너지 절감률 향상 5-26. EMS 도약기술 개발, 신재생 에너지하이브리드, 5-27. 신재생에너지간 열원 통합 및 블록히팅 제어 5-28. ESS 활용 전기에너지 융복합 및 V2G 기술, 6. CCS, CCS 기술개발 및 상용화, 6-29. 세계적 수준의 CO2 포집비용 달성 6-30. CO2 수송 및 저장기술 | Ⅱ. 탄소자원화 분야: 7. 부생가스 전환, 청정 연료, 7-31. 부생가스 자원화 청정 연료 생산 플라스틱 원료 7-32. 부생가스 자원화 플라스틱 원료 생산 유기성 폐기물 활용 7-33. 유기성폐기물 자원화 수송연료 및 화학제품 생산, 8. CO2 전환, 청정 연료, 8-34. 수소이용 액체연료(경유, 메탄올) 생산, 화학원료·소재, 8-35. 생물 기반 플라스틱 원료 생산 8-36. CO2 플라스틱 및 신소재 생산 8-37. 전기화학 기반 화학원료 생산 8-38. 태양광 기반 고부가가치 화학원료 생산 (인공광합성), 9. CO2 광물화, CO2 및 산업․발전부산물 활용, 9-39. 친환경 시멘트‧콘크리트‧폐지펄프 생산, CO2 및 석회수 활용, 9-40. 나노탄산칼슘‧자동차용복합소재 생산 | Ⅲ. 기후변화적응 분야: 10. 공통 플랫폼 기술, 기후변화 감시․전망, 10-41. 기상 및 기후 고해상도 관측․예측, 기후영향 관측․예측 10-42. 기후위험에 대한 건강영향 감시․예측 10-43. 기후위험에 대한 식량영향 감시․예측 기후변화 취약성․리스크 평가, 10-44. 기후 영향․취약성 분석 상세화 10-45. 기후 리스크 통합관리 기반, 피해 저감 및 회복력 강화, 10-46. 기후재해 선제적 예방 10-47. 기후재해 피해 분석․산정 10-48. 피해 저감․복구, 중장기 대응기반 구축, 10-49. 기후 위기자원 관리 10-50. 적응정책 통합 관리

기후기술로드맵 예시

- 탄소저감, 탄소자원화, 기후변화적응 3대 부문별 50개 연구군 718개의 세부 연구과제들의 진행현황, 계획, 주요 예상 성과 및 도출시점, 연구결과 활용 계획 등의 내용으로 구성될 예정

기후기술로드맵 예시 도표. 도표 설명: 기후기술로드맵(CTR)은 다양한 주체의 연구개발 활동을 효과적으로 결집‧공유‧조율함으로써 기후기술을 성공적으로 확보하고, 우리나라의 기후변화대응 역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탄소저감, 탄소자원화, 기후변화적응의 3대 부문별로 총 50개의 연구군에 대해, 각 연구군별 세부 연구과제(총 718개)들의 진행 현황 및 계획, 주요 예상 성과 및 도출 시점, 연구결과 활용 계획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다.

콘텐츠담당 : 연구기획팀(T.2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