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미디어센터

A multimedia mosaic of moments at GIST

GIST Excellence

[보도자료] “과학기술 R&D로 미세먼지 해결책 마련”

  • 이석호
  • 등록일 : 2016.07.08
  • 조회수 : 2507

 

 

 

 

 

“과학기술 R&D로 미세먼지 해결책 마련”

- 미래부 최양희 장관, 초미세먼지 사업단 및 GIST 기술창업자 간담회 개최

 

 

최양희 장관 방문

 

 

□ GIST(광주과학기술원·총장 문승현)가 주관하는 국내 유일의 초미세먼지 관련 연구사업단 연구자들이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 최양희 장관과 함께 ‘과학기술’을 이용한 (초)미세먼지* 문제 해결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 미세먼지: 입자 크기가 10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미터) 이하인 먼지. 미세먼지 중에서도 입자 크기가 2.5㎛ 이하인 것을 초미세먼지라 부른다.

 

  ∘ 미래부의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사업’인 ‘초미세먼지 피해저감 사업단’은 7월 8일(금) 오후 3시 30분 사업단이 위치한 GIST 삼성환경과학연구동에서 GIST를 방문한 최양희 장관을 만나 초미세먼지 연구 현황을 설명하고 관련 실험 시연을 진행했다.

 

  ∘ 사업단은 이 자리에서 화력발전소 등에서 나오는 석탄 연소 입자, 농작물 연소입자, 파도에 의한 해양 입자 등 자연적·인위적으로 발생하는 초미세먼지를 실험용으로 발생시키는 시스템을 시연하고, 이어 자체 개발한 초미세먼지 실시간 측정 시스템을 선보였다. 또한 초미세먼지 정화장치, 마스크 성능 평가 시스템도 시연했다.

 

 

 

  ∘ ‘초미세먼지 피해저감 사업단’을 이끌고 있는 박기홍 단장(GIST 지구·환경공학부 교수)은 “초미세먼지 농도도 중요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초미세먼지의 구성 성분”이라며 “향후 배출원에 따라 미세먼지가 어떤 물리화학적 특성을 갖는지를 우선 파악해야 하며 2차적으로 만들어지는 미세먼지의 발생 원인을 추적하는 연구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 최 장관은 “초미세먼지 피해저감 사업단이 과학기술로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앞장서 주기 바란다”며 “범부처 ‘미세먼지 연구기획위원회’가 9월까지 마련할 미세먼지 기술개발 종합계획(안)에도 연구현장의 목소리가 많이 반영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기술창업간담회

 

 

□ 이에 앞서 오후 2시 30분부터는 GIST 행정동 대회의실에서 자신의 기술과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기술창업에 도전한 GIST 학생 및 교수와 장관과의 간담회가 열렸다.

 

  ∘ 이날 간담회에서 GIST 학생 벤처회사인 ㈜SOS Lab 대표 정지성 학생(기계공학부 박사과정)은 창업 아이템인 ‘자율주행 무인운송체를 위한 레이저 탐색 센서 모듈’을 소개했으며,

 

  ∘ 진단센서용 페이퍼칩 전문 업체로 GIST 제1호 연구소기업인 ㈜인지바이오(INGIBIO)를 창업한 김민곤 교수(화학과)는 자체 개발한 심혈관 질환 및 콜레스트롤 진단 센서 등 그 동안의 연구 성과와 창업 현황에 대해 소개했다.

 

□ GIST에는 지금까지 교수와 연구원, 학생 등이 총 47개의 기업을 창업해 누적 매출액 약 600억 원을 올리고 있다.

 

  ∘ 또한 ‘GIST Sprint for Start-up’, ‘Campus CEO Challenge’, 이스라엘 테크니온 공대 기업가정신 프로그램 파견 등 다양한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창업학생휴학제도(최대 4학기), 교원창업 휴직제도(최대 6년), 학생 창업 시 교내 사무실 무상지원 등 창업 친화적 캠퍼스 문화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제도를 갖추고 있다.     <끝>

 

 

 

대외협력팀


콘텐츠담당 : 대외협력팀(T.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