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미디어센터

A multimedia mosaic of moments at GIST

GIST Excellence

[보도자료] “저분자 화합물로 아토피 피부염 잡는다”

  • 이석호
  • 등록일 : 2016.06.29
  • 조회수 : 2420

 

 

 

“저분자 화합물로 아토피 피부염 잡는다”

 - GIST 김용철 교수팀, 휴온스·성균관대, 신개념 아토피 치료제 개발 나서

 -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연구과제 선정…2021년까지 연구비 31억원 지원

 

김용철 교수

 

 

□ GIST(광주과학기술원·총장 문승현)가 염증성 피부질환인 아토피 치료를 위한 신약 개발에 나선다.

 

  ∘ GIST는 생명과학부 김용철 교수 연구팀이 최근 제약업체인 ㈜휴온스(대표 전재갑)와 성균관대학교 김형식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하는 ‘아토피 피부염 신약 개발’ 연구사업에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 GIST가 주관 기관으로 주도하게 될 이번 공동 연구과제는 과도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거나 낮아진 면역반응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면역시스템의 균형을 맞추는 합성신약 개발을 최종 목표로 연구하게 되며, 올해부터 2021년까지 정부 및 산업체로부터 총 31억여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후보물질 도출과 비임상 독성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 아토피 피부염은 발병 원인과 경로가 다양하고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만성 피부질환으로 장기간의 꾸준한 치료가 필요하다.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가 없어 중증화·난치화 되는 경우가 많다.

 

  ∘ 일반적으로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에는 국소용 스테로이드제가 이용되지만, 피부가 얇아지거나 혈관이 확장돼 2차 감염 등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 지금까지 유전자치료제, 세포치료제, 항체치료제 등의 바이오 의약품들이 개발됐지만 치료비용이 비싸고 약 투여가 불편하며 항체 형성에 의해 치료반응이 감소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새로운 저분자 화합물을 이용해 효과적이고 부작용이 적은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 시장조사 기관인 글로벌데이터(GlobalData)에 따르면, 전 세계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시장은 약 39억 달러(2012년)에 달하며, 오는 2022년까지 약 56억 달러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하리라 기대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토피 피부염 관련 시장 규모는 5000억 원 이상인 것으로 추산된다.

 

□ GIST 김용철 교수는 “본 연구실의 인체적용시험 선행 연구에서 이미 효능을 확인한 천연물질을 이용해 최적화 신약 연구를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글로벌 신약후보물질을 도출해 이의 임상시험 승인을 목표로 연구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끝>


 

 

대외협력팀

콘텐츠담당 : 대외협력팀(T.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