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미디어센터

A multimedia mosaic of moments at GIST

GIST Excellence

GIST, MEMS기반 미세유체굴절률 측정시스템 세계 최초 개발

  • 장은빈
  • 등록일 : 2011.01.25
  • 조회수 : 3727

 

GIST, MEMS기반 미세유체굴절률 측정시스템 세계 최초 개발   

           

       - 칩에 최소 1㎕의 샘플 주입만으로 유체 굴절률 측정 가능

       - 국제저명학술지 랩온어칩誌 최신호에 논문 게재

 

 

GIST(광주과학기술원, 총장 선우중호) 양성 교수(기전공학과․42세) 팀은 유체의 굴절을 측정하기 위해 기존의 복잡한 광학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도 정확히 굴절률을 측정할 수 있는 이미지 비초점 기술을 이용하여 MEMS 기반의 미세유체 굴절률 측정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의 유체 굴절률 측정시스템은 복잡한 광학 및 기계적 시스템을 필요로 하고, 특히 시료의 양이 적은 경우 사실상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하지만 양성 교수팀에서 개발한 시스템은 칩에 최소 1 ㎕의 샘플만 주입함으로써 기존의 방식보다 쉽고, 빠르게 정확한 유체의 굴절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측정 시스템은, 유체의 굴절률을 알고 있는 소량의 기준유체와 샘플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MEMS 공정을 통해 제작된 미세유체칩과, 일반 현미경 렌즈위에 집적할 수 있는 3개의 핀 홀 (pin hole)이 형성된 Si 칩으로 구성 되어있다. 측정을 위해서는, 미세유체칩과 핀홀이 형성된 Si 칩을 정렬한 후, 빛을 통과시켜, 일정거리에 위치한 이미지 평판에 이미지가 형성되게 한다. 이때, 이미지가 형성되는 평판이 초점거리에 있으면 하나의 이미지가 형성 되지만, 의도적으로 초점거리에 벗어난 곳에 이미지 평판을 위치하게 되면, 3개의 이미지가 형성되게 된다. 이때 형성된 다중의 이미지 간의 거리는 미세유체칩에 주입된 유체의 굴절률에 의존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미지간의 거리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유체의 굴절률을 측정하는 원리이다.

 

양성 교수는 “환경, 화학, 식품, 의학, 반도체 등 다양한 산업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전자신문 보도 2011. 1. 25.>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1101250098

콘텐츠담당 : 대외협력팀(T.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