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ultimedia mosaic of moments at GIST
"물과 유기 전해질의 황금 비율" 유승준 교수 연구팀, 차세대 전해질 개발
GIST 학-석-박 졸업생 강지승 박사, 만 27세 고려대 최연소 조교수 임용
국내 연구진이 광학 분야에 인공지능(AI) 기술을 결합하여 약 1초 만에 빠르고 정확하게 필름 형태의 파노 공명(Fano resonance)을 디자인하는 데 성공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송영민 교수와 AI대학원 전해곤 교수 공동 연구팀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1.14초 만에 오차율 7% 이내로 광학 파노(Fano...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남호정 교수 연구팀이 신규 약물 구조를 생성해주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했다. 생성형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는 신약 디자인 플랫폼으로, 약물의 효과를 최적화한 저분자 화합물 생성을 통해 신약 개발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 화학과 김민곤 교수 연구팀은 최적의 금속증강형광 현상을 발견하고 측방유동면역분석법에 적용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높은 정확성과 특이성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 연구진이 유기 태양전지가 고온에서 성능이 감소하는 문제를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하고, 수명을 기존의 약 50배인 1,000시간 이상 획기적으로 늘리는 데 성공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 의생명공학과 김태 교수와 오창명 교수 공동 연구팀은 고지방식을 먹은 마우스 모델에서 렘 수면(얕은 수면) 이상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유사 행동을 발견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송영민 교수와 AI대학원 전해곤 교수 공동 연구팀은 바이러스 크기의 바이오 입자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정량화할 수 있는 플랫폼(DeepGT)을 개발했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 임기철) 기계공학부 이용구 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AI) 기술로 블랙박스 영상을 분석해서 교통사고 과실 비율을 평가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성과를 활용하면 보험업계에서는 기초적인 역학조사에 투입되는 전문가 인력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변호사의 분쟁 심의를 지원할 수 있다. 분쟁 심의에 소요되는 기간도 획기적으로 단축 가능하...
한국연구재단은 광주과학기술원(총장 임기철) 이광희 교수(신소재공학부), 김희주 교수(에너지융합대학원) 공동 연구팀이 준이차원(qusai-2D)* 페로브스카이트** 소재에 간단한 후처리 기술을 적용해 소재의 결함***을 해결하고, 효율 및 안정성을 확보한 태양전지 소재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기존의 상용화된 실리콘 기반 태양전...
국내 연구진이 기존 항생제에 내성이 생긴 슈퍼박테리아를 잡는 강력한 항생제 약물을 발굴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 임기철) 서지원 교수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이성수 박사 공동연구팀이 다제내성균에 효과적이면서 독성을 낮춘 항균 치료제 유효물질을 발굴했다고 밝혔다. 항생제에 내성이 생긴 슈퍼박테리아 감염은 코로나바이...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 임기철) 신소재공학부 이재영 교수 연구팀이 전남대병원 순환기내과 안영근 교수 연구팀과 함께 심장에 발라서 심근경색을 치료할 수 있는 ‘전도성 수화젤 심근 패치’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 임기철) 에너지융합대학원 김형진 교수 연구팀이 안정성이 높으면서도 값싼 ‘무흐름 아연-브롬 전지’의 성능과 내구성을 크게 개선하는데 성공했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 임기철) 의생명공학과 오창명 교수 연구팀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을 발견하고, 이를 억제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시해 주목받고 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비만, 당뇨와 함께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대사 질환이지만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개발되지 않아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
"반도체, 무한 복사하는 시대 온다" 지스트-MIT, '원격 에피택시' 상용화 성큼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 임기철)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이동선 교수팀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이하 MIT)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질화갈륨 원격 에피택시’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웨이퍼 위에 질화갈륨 반도체를 성...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 임기철)가 영상 속 픽셀들의 관계를 ‘하이퍼볼릭(Hyperbolic) 공간’에서 새로운 방식으로 이해해 이미지 처리 성능을 크게 높인 인공지능(AI) 알고리즘 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하이퍼볼릭 공간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3차원 공간과 달리 굽은 형태를 지닌 비(非)유클리드 공간 중 하나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 임기철) 신소재공학부 이상한 교수가 카이스트 서장원 교수 등과 함께 ‘광생성 캐리어’ 손실을 억제하는 새로운 기술을 적용해 세계적인 수준의 효율과 수명을 실현한 ‘유기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이하 페로브스카이트) 광전극’을 개발했다. 전 세계적으로 탄소 중립이 주목받고 있는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