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GISTian

Creating limitless possibilities through research and education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외부인력(Post-Doc.)공개채용(~6.18)

  • 이하늘
  • 등록일 : 2019.05.29
  • 조회수 : 1324

 
채용분야
구분 분야 세부분야 담당업무 인원
Post-Doc. · 광학표준분야
 [직무기술서]
· 물리학,
  기계공학,
  전자공학
· 스마트팩토리용 모바일 PMD 기술 개발 및 성능 평가
· 광학적 미세선폭 측정 장비/기술 개발 및 CMC 향상
· 간섭계를 이용한 차세대 복합형상 측정기술 개발
1명
· 시간표준분야Ⅰ
 [직무기술서]
· 물리, 광학
· 원자물리
· Yb 양자기체와 광격자를 이용한 정밀측정 및 양자제어 1명
· 시간표준분야Ⅱ
 [직무기술서]
· 항공우주, 천문,
  전자, 통신,
  제어 공학
· 항법 및 통신 위성 반송파 기반 타이밍 오차분석 및
  보정 알고리즘 연구
· 위성 기반 시각측정 시스템 관련 연구
1명
· 시간표준분야Ⅲ
 [직무기술서]
· 물리
· 원자물리
· 광학
· 원자간섭계 기반 중력센서 개발 1명
· 역학표준분야
 [직무기술서]
· 재료공학,
  전기공학,
  전자공학,
  기계공학,
  화학공학
· 상용화 수준의 촉각센서 공정 및 촉감 정량화
  시스템 개발 지원
1명
· 전자기표준분야
 [직무기술서]
· 물리학,
  전자공학
  (세부전공: 광학)
· 리드버그 원자 기반 전자기장세기 측정기술 개발 분야 1명
· 가스분석표준분야Ⅰ
 [직무기술서]
· 분석화학
· 화학공학
· 원소분석기를 이용한 금속재료 중 가스 불순물
  측정표준 개발
· 원소분석기-동위원소비질량분석기 이용
  안정동위원소비 측정표준 개발
1명
· 가스분석표준분야Ⅱ
 [직무기술서]
· 화공(분석)
· 분석화학
· 물리화학
· 수소 불순물 분석 측정연구 및 현장 측정기 개발 연구
· 극미량 다종복합 분석기술 개발
· IR 흡수 선폭 측정기술개발
1명
· 방사선표준분야
 [직무기술서]
· 물리학
· 원자핵공학
· 방사선과학
· ESR 기반 방사선량 정밀측정기술 개발
· 열량계법을 이용한 흡수선량 측정 기술 개발
1명
· 의료융합표준분야Ⅰ
 [직무기술서]
· 의공학,
  방사선학, 물리학,
  전기전자, 기계
· 인공지능 기반 의료영상(MRI, CT) 기술 개발
· 의료영상 신뢰성 향상을 위한 팬텀 개발
1명
· 의료융합표준분야Ⅱ
 [직무기술서]
· 전공불문
  생체신호,
  EEG(뇌파 분석)에
  관심 있는 분
· VR 사업 중 인체안전성, 몰입 관련 연구
· 뇌파 포함 인체 물리량 분석
1명
· 나노구조측정분야
 [직무기술서]
· 물리학,
  화학,
  계측과학
· 초박막 두께 측정 및 조성분석 등 “ICT 핵심소재
  성분분석 최상위 기술개발” 사업 수행
· 현재 운영 중인 이차이온질량분석기(SIMS) 운영.
· 금년도 구입 예정인 중에너지이온산란분광기(MEIS)
  운영.
1명
· 나노바이오측정분야Ⅰ
 [직무기술서]
· 화학, 생화학
  나노바이오 화학,
· 생체분자간 상호작용 측정 기술 개발
· 질병 진단 플랫폼 기술 개발
· aptamer-단백질, 항원-항체, 유기나노입자 기반의
  요소기술을 활용한 센서 개발
1명
· 나노바이오측정분야Ⅱ
 [직무기술서]
· 분석화학,
  질량분석,
  프로테오믹스
· 무기 나노입자의 단백질 코로나 분석
· 유기 나노입자의 단백질 코로나 연구
· 생체 조직 바이오이미징 측정 연계 관련 단백질 동정
1명
· 소재에너지융합
  측정분야Ⅰ
 [직무기술서]
· 기계공학
· 금속재료
· 열적-기계적 피로시험 1명
· 소재에너지융합
  측정분야Ⅱ
 [직무기술서]
· 기계공학
· 금속/재료
· 소재 역학물성 측정 및 평가
· 금속소재 수소취화 거동 및 메커니즘 분석
· 수소에너지기술
1명
· 소재에너지융합
  측정분야Ⅲ
 [직무기술서]
· 재료공학
· 기계공학
· 금속소재 고온 특성(기계적, 부식/산화 등) 연구
· 소재 수명 예측 및 적합성 평가 기술 개발
1명
· 안전측정분야
 [직무기술서]
· 기계, 전기, 전자,
  물리, 계측, 재료
  등
· IoT 센서용 자율전원 기술 개발을 위한 음향/탄성/진동
  메타물질 설계, 해석 및 특성평가 기술 개발 업무
1명
· 융합물성측정분야Ⅰ
 [직무기술서]
· 재료,
  화학 및 기타
  전기화학 관련
· 이차전지 전극소재 및 전지 평가기술 개발
· 카보-올가닉 전극소재 개발
1명
· 융합물성측정분야Ⅱ
 [직무기술서]
· 물리, 재료, 기계 · 초고온/초고압 분야 장비구축 및 상전이 거동 측정
· 초고속 시간분해를 포함한 실시간 극한측정 연구
1명
· 극저자장측정분야Ⅰ
 [직무기술서]
· 물리, 화학,
  전기전자
· 초분극(Hyperpolarization) NMR 연구 1명
· 극저자장측정분야Ⅱ
 [직무기술서]
· 물리학
  (광학 고체물리)
· 양자 자기장센서 제작 및 평가 1명
· 우주광학분야
 [직무기술서]
· 물리학,
  광학,
  기계공학
· 우주용 반사경 정밀 측정
· 새로운 광학적 측정법 개발
1명
· 양자광학분야
 [직무기술서]
· 양자광학
· 물리학
· 전자공학
· 단일광자 측정기술 개발
· 양자간섭계 기술 개발
1명
· 양자정보분야
 [직무기술서]
· 물리학,
  전자공학 및 관련
  분야
· 초전도 큐비트 기반 양자컴퓨팅 기술개발
· 양자소자 기반 양자정보 원천기술개발
· 단일광자 레벨의 극저온 고주파 초정밀측정기술 개발
2명
· 양자소자분야Ⅰ
 [직무기술서]
· 물리학,전자공학,
  전기공학,
  재료공학,
  나노공학,
  화학공학
· 양자 터널링 분광법 기반 이차원계 양자물질 양자 상
  전이 현상 및 전자구조 변형 연구 수행
· 양자소자기반 저차원물질 융/복합 물성 정밀측정 기술
  개발
· 저차원 소재기반 다기능 양자소자 공정/측정기술 개발
1명
· 양자소자분야Ⅱ
 [직무기술서]
· 물리학,전자공학,
  전기공학,
  재료공학,
  나노공학,
  화학공학
· 나노역학계 기반 마요라나 큐비트
  인터페이스 소자의 제작 및 측정
1명
· 스핀융합분야Ⅰ
 [직무기술서]
· 물리학
· 재료공학
· OOMMF, Mumax를 이용한 자성
  물질에서의 스핀동역학 전산모사 연구
· 스커미온 소재 최적화를 위한 자성소재 물성분석 연구
· 방사광 이용 스핀물성 분석연구
1명
· 스핀융합분야Ⅱ
 [직무기술서]
· 물리학
· 재료공학
· 나노자성 스위칭 소자 개발 및 측정 연구
· 스핀동역학 측정연구
1명
· 스핀융합분야Ⅲ
 [직무기술서]
· 물리학
· 재료공학
· 고분해능 SEMPA를 이용한
  3차원 자성 이미지측정 및 나노자성체 물성분석
· 스커미온 동역학 측정기술 확보를 위한 자성소자의
  제작
· 초고진공 유경험자 우대
1명
· 양자이론분야
 [직무기술서]
· 물리학
  (고체물리 이론)
· 고체물리이론 (제일원리계산) 반도체 결함, 표면, 위상
  성질에 대한 연구, 기계학습법 개발 및 응용.
1명
※ NCS 미개발 연구분야 직무기술서의 경우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작성하여 한국산업인력공단의 표준분류와 상이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응시자격
구분 세부내용
공통 · 국가공무원법 제33조(결격사유)의 결격사유가 없는 자
· 병역의무대상자는 군필 또는 면제자로서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Post-Doc. · 임용 예정일 기준 박사학위 취득 후 5년 이내 또는 3개월 내 박사학위 취득 예정자
· 최근 3년간 SCI(E) 논문 또는 국제특허 중 1편(건) 이상 게재(등록)한 자

   - 논문은 제1저자 또는 교신저자에 한함
     (채용 접수마감일 기준 최근 3년 이내 연구실적에 한함)
   - 국제특허는 주발명자로 미국, 일본, 유럽특허청에 등록된 특허에 한함
   - 기타 이와 동등하다고 인정되는 자
우대사항 · 장애인 및 취업보호대상자는 증빙서류 제출 시 관계법에 의해 우대
· 여성과학기술인 우대
※ NCS 미개발 연구분야 직무기술서의 경우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작성하여 한국산업인력공단의 표준분류와 상이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연수조건
구분 세부내용
고용형태 · 박사후연구원
계약기간 · 최대 3년 (1년 단위 계약)
근무조건 · 급여 : 자체 산정기준에 의거 정규직과 동일한 경력 평점을 통해 급여수준 결정
· 복지 : 4대보험, 퇴직금(1년이상 근무자), 직장어린이집, 체육시설 등
근무장소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 267)
근무시기 · 2019. 09. 01. 임용 (연구원 사정에 의해 변경 가능)
 
채용절차
전형절차 내용
1차전형 서류심사 · 서류심사
   - 모집분야별 전문성, 적격성 평가
   - 평가항목 : 연구실적(연구분야), 교육, 자격, 경험(경력), 자기소개서 및
     경험기술서 등
   - 합격기준 : 평가항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원자별 5개 척도 평가,
     각 전형위원 합산점수 평균 80점 이상 합격
온라인 인성검사 · 온라인 인성검사
   - 내용 : 연구직 전문 역량 평가 유형(30분 소요)
   - 방법 : 전문업체 의뢰, 객관식 문제 출제 및 채점
2차전형 연구업적세미나 · 업적 발표를 통해 개인별 전문역량 평가
   - 실시방법 : 연구업적 발표 및 질의응답(영어)
   - 평가항목 : 전문성, 논리성, 창의성, 발표력 등
   - 소요시간 : 개인당 발표 10분, 질의응답 10~15분
3차전형 면접 · 조직적합성 및 직무적합성 검증
   - 실시방법 : 지원자 단독면접
   - 평가항목 : 기본자세, 전문지식 등
   - 소요시간 : 개인당 10 ~ 15분
   - 합격기준 : 2차 전공·필기전형(연구업적세미나, Presentation 면접) 및 3차
     면접전형 평가항목 점수 각각의 합의 평균점수 고득점자 순으로 합격자를
     정하되, 면접시험에서 면접위원 과반수가 어느 하나의 평정요소에 대해
     “중하”이하로 평정하였을 경우에는 불합격으로 처리(직원채용요령 제16조)
※ 접수방법 : KRISS 채용 홈페이지 (http://oras.jobkorea.co.kr/kriss-temp) 인터넷 접수
                   (채용 홈페이지는 원서접수 기간에만 운영되며 우편접수는 실시하지 않음)
※ 원서접수기간 : 2019. 5. 28.(화) ~ 2019. 6. 18.(화) 15:00까지(마감이후 접수 불가)
※ 연구실적 초록은 스캔파일(PDF 등)로 안내에 따라 채용시스템에 첨부
 
제출서류
구분 세부내용
1차 전형 · 블라인드 채용 입사지원서
· 자기소개서
· 경험기술서
· 전체 실적(논문, 특허) 목록
· 최근 3년 이내 실적(논문, 특허) 초록 첫 페이지
  - 논문 및 특허 등록 실적의 경우 접수마감일 기준 3년 이내 연구실적에 한함
  - 논문과 특허가 동일한 내용일 경우에는 1편(건)으로 간주
· 관심 분야 및 향후 계획(연구직)
※ 위 서류는 KRISS 인력채용 시스템 접속 후 온라인 작성
2차 전형 · 연구업적세미나 발표자료
· 대학/대학원 전 과정 성적/졸업증명서
· 경력/재직 증명서, 자격증 사본, 병적증명서(해당자)
· 장애인 증명서, 취업보호대상자 증명서(해당자)
 
채용절차
구 분 1차 전형 인성검사 2차 전형 3차 전형
전형내용 서류심사 온라인 인성검사 연구업적세미나 면접
※ 국외거주 지원자 편의를 위해 2차 및 3차 전형 동시 실시 가능
 
채용일정
전형구분 일정 비고
채용공고 2019. 5. 28. ~ 2019. 6. 18. 추진 일정은 기관 사정에 따라 변경 가능
서류접수 2019. 5. 28. ~ 2019. 6. 18.
1차전형 2019. 6. 24. ~ 2019. 7. 3.
온라인 인성검사 2019. 7. 4. ~ 2019. 7. 5.
2·3차전형 2019. 7. 8. ~ 2019. 7. 19.
임용 2019. 9. 1.
 
기타사항
- 전 분야 전형결과 해당분야 적격자가 없는 경우 미채용 할 수 있음
- 온라인 인성검사 부정행위 및 응시원서 등 제출서류 허위사실 발견 시 합격을 취소함
- 최종합격자로 결정되더라도 신원조사, 채용신체검사 등에서 부적격으로 판명될 경우 임용을 취소할 수 있음
-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11조에 따라 채용 여부가 확정된 이후 채용 증빙서류(원본)의 반환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본인 확인 후 반환
- 취업보호대상자, 장애인, 저소득층은 증빙서류 제출을 전제로 관계법령에 따라 우대
- 기타 궁금한 사항은 인적자원실 채용 담당자에게 문의
   · 연락처 : 042-868-5516
   · 메   일 : yjkim20@kriss.re.kr